
🌿 프테리스 고사리 키우기 고사리는 식물을 키우는 가드닝분들에게 항상 사랑받는 식물이다. 고사리 종류는 다양한데 더피 고사리 보스턴고사리 후마타 고사리 하트 고사리 단추 고사리 넉줄고사리 묘이 고사리 아비스 고사리 프테라스 고사리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그중에서 잎이 예쁘고 여리해서 사랑받는 프테리스 고사리를 티워보자. 프테리스 고사리는 포르앞데히드를 제거하는 능력 있는 식물로서 잎 보기 식물이다. 🌿 물 주기 프테리스 고사리는 물을 좋아하는 식물이다. 겉흙이 마르면 주는 식물과는 다르게 매일 복토에 한 바퀴씩 물을 준다. 고사리들의 특징은 습한 곳을 좋아하는데, 항상 습한곳을 유지해주면 좋다. 그런데 뿌리는 과습이 되면 안되니 이것 또한 유의한다. 고사리의 특징상 여름에 잘 자라는 게 특징이다. 햇빛..

🌿 개운죽 식물 초보분들에게 가장 추천해주고 싶은 식물은 개운죽이다. 말 그대로 물만 주면 되고 신경 쓸게 없다. 많은 햇빛을 요구하지도 않으며 무관심(?)을 두면 알아서 잘 크는 게 개운죽이다. 서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개운죽은 물에 담가 두면 된다. 온도는 너무 덥지 않은 곳에서 키우는 것을 추천한다. 물을 많이 먹는 식물들은 흙에 심어서 저면 관수해야 어느 정도 영양성분이 올라와서 잘 크는데 개운죽은 흙에 심어서 저면관수하여 키우는 것보다 그냥 컵이나 꽃병에 물을 담고 키우는 것을 추천한다. 어떤 분은 수태에서 키우기도 하는데 수태에서 키우면 분무를 매일 해줘야 하기에 조금 번거러울 수 있으나 인테리어 효과는 좋다. 또는 하이드로볼을 병에 넣고 키우는 경우도 있다. 하이드로볼은 추천하는 게 물의 안..

🌿 브레이니아 브레이나아는 잎 보기 식물이다. 원산지는 남태평양 서인도인데 관목식물로 사람의 키만큼도 자라나는 특징이 있다. 잎의 모양을 보면 녹색이면서 화이트 색상을 내주는데, 소코라코는 붉은색과 보라색 잎이 나기도 하는 신기한 식물이다. 벽 쪽에 심어두면 벽을 타고 올라가서 하나의 울타리를 만들기도 하는 브레이니아 소코라코는 물 주는 게 조금 까다로울 수 있다. 🌿 물 주기 잎이 화이트 잎이 나기도 하는데 이런 화이트 잎이 날 경우 잎에 물을 주게 되면 갈변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브레이니아는 잎에 물이 안 닿게 주는 걸 추천하며 혹시나 잎에 물이 닿게 위에서 뿌려주었다면, 물을 조금 털어주고 강한 햇빛을 피해야 한다. 그래서 미니 브레이니아는 되도록 저면관수를 해주고 저면관수가 안될 시에는 복..

🌿 긴꾸따루 유래 긴꾸따루는 부르는 이름이 다양하다 긴꾸따루 긴도라노 긴꾸따로 낑꾸따루 등등... 정확한 이름은 낀꾸따로 이다. 아무래도 일본에서 유래돼서 그대로 불리다 보니 이름이 다양해진 거 같다. 일본의 낀또라노 호랑이 꼬리를 닮았다고 해서 유래되어서 이름이 긴꾸따로라고 붙여졌다. 그래서 황금호랑이의 꼬리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다양한 이름을 가진 만큼 꽃도 예쁘고 귀엽다. 그리고 꽃의 색상은 황금색인 노란색을 지니고 있다. 🌿 긴꾸따루 키우기 높게 길게 자라는 게 특징인데 180cm 이상까지도 자라난다. 꽃말은 감사인데, 감사해야 할 때 선물로 주면 좋지 않을까? 일본의 호랑이 꼬리를 닮았지만 원산지는 멕시코 중남미에서 산다. 7월에 꽃대가 시작하여 8월~9월 안으로 노란색 꽃이 핀다. 그리고 추워지..

천일홍 꽃말 그리고 키우기 천일홍 꽃차 만들기 천일홍은 열대 아메리카에서 자라나는 꽃이다. 천일홍을 키워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귀엽고 매력적인 꽃이다. 노지에서 많이 키우고 화단에서 키우는데 실내보다는 노지에서 키우는 걸 추천한다. 또한 천일홍은 생명력이 강해서 심어두면 잘 자라나는 특징이 있다. 파종해서 키우는 경우도 있고 작은 모종을 여러 개 심어서 키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천일홍은 봄에 씨앗을 뿌리면 여름에 꽃이 피는데 꽃은 7월~10월에 핀다. 천일홍은 꽃색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아서 천일홍인데, 꽃 자체가 단단해서 드라이플라워로도 많이 사랑받는 꽃이다. 천일홍을 잘라서 그대로 꽃병에 새워두면 꽃잎이 떨어지지 않고 잘 마르는데 줄기 부분을 모아서 거꾸로 세워두워도 그 꽃의 모양이 변함없이 예쁘게 마..

노지 월동하는 나비 바늘꽃은 산이나 들가에서 자라나는 꽃 식물이다. 북 아메리카가 원산지인데 꽃이 피는 기간이 길다.(5월~11월) 꽃의 모양을 자세히 보면 나비가 날아다니는듯한 형체로 피어나며 안의 수술이 바늘 모양같이 생겨서 나비 바늘꽃이라 불리는데 가우라(Gaura Lindheimeri) 꽃이라는 이름이 본래 이름이다. 또한 나비 바늘꽃은 흰색과 분홍색 두 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는데, 분홍색은 홍접초라는 이름이 있고 흰색은 백접초라는 이름을 가진다. 분홍바늘꽃은 길가에도 많이 심어놓는데 그만큼 생명력이 강한 꽃식물이다. 나비 바늘꽃을 보면 산들산들 날아가는듯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꽃이 피고 지면서 많이 피는 게 특징이다. 🌿 번식 나비 바늘꽃 가우라는 꽃의 씨앗이 떨어지면서 번식을 하며 또한 포기..

동전 모양으로 생긴 워터 코인 물안에서 사는 수생식물이다. 그래서 이름이 워터 코인인데, 둥그런 잎이 귀엽다. 습한 지역 습지에서 자라나는 워터 코인은 여름이 될 무렵에 꽃을 피는 게 특징이다. 🌿 물 주기 워터 코인은 말그대로 물에서 사는 식물이기에 물을 계속해서 채워넣어줘야한다. 화분에 심어서 저면관수를 해서 키우는 경우도 있지만 그릇이나 구멍이 없는 화분에 깨끗이 세척한 마사토를 안에 넣고 물을 넣은후 워터코인을 하나씩 꽂아두기도 하며, 하이드로볼을 깨끗이씻어서 안에넣고 물을넣어서 키우기도 한다. 마사토와 하이드로볼등 수생식물안에 들어가는 돌은 반듯이 세척이 필요하다 불순물로 인해 식물 뿌리에 안좋을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들어가는 물은 수돗물을 하루정도 담아둬서 받았다가 넣어준다. 수돗물에는 염소..

나도풍란의 원산지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 동북아시아이다. 나도 풍란은 귀여우면서 수분만 충분히 주면 잘 자란다. 난초과인데, 잎이 작은 게 특징이다. 우리나라에는 가거도 홍도 흑산도의 남해와 제주도에서 자라나는데 자연적으로 자라나는 나도풍란은 멸종위기이다. 그리고 꽃은 봄과 여름에 피는 게 특징이다. 잘 키우면 10년 이상으로 키우는 경우도 있다. 꽃은 보기가 힘들 정도인데, 키우는 동안에 한 번은 꽃을 핀다. 그리고 나도 풍란의 꽃은 그 향이 좋고 오래가며 진하기에 넓게 퍼진다. 또한 꽃 자체는 꾸밈이 없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하얀색 바탕에 보라색이나 노란색으로 섞어서 피운다. 그리고 꽃이 한 번피면 계단식으로 기둥을 만들어서 꾸준히 피운다. 나도 풍란은 햇빛보다 물을 좋아하는 식물이다. 나도 풍란은..

체리 세이지는 체리향이 은은하게 풍기는데 그래서 이름이 체리 세이지이다. 체리 세이지의 꽃말은 건강 미덕인데 체리 섹인 빨간색과 너무 잘 어울리는 꽃말이다. 꽃은 흰색과 빨간색이 반반 섞여서 자라는데 멀리서 보면 요정 같기도 한다. 세이지는 예전부터 약으로도 쓰이기도 했는데, 살균이나 소독에 효과가 있고 소화에도 도움을 준다. 그리고 목욕제로도 쓰였는데, 피부를 부드럽게 해 준다. 체리 세이지는 5월에 꽃이 피는데 꽃이 피는 개화시기가 길다는 게 장점이다. 체리 세이지의 번식은 적심 해서 삽목 하여 번식을 하는데, 적심을 한 후 물에 꽂아두면 뿌리가 나와 뿌리가 나기 시작하면 흙에 심어준다. 노지에서 키울 때는 알아서 포기나누기로 번식이 된다. 그리고 분갈이 할때 흙은 물이 잘 내려갈수있게 마사의 비율을..

국화는 노지 월동이 가능한 식물이다. 국화는 우리나라와 중국이 원산지이다. 선선한 가을에 꽃을 피는 게 특징인데, 꽃이 피는 시기는 9월~11월인데 지금이 제철이다. 그래서 화원에 가면 다양한 국화를 볼 수 있다. 국화는 순하기에 키우기가 수월하다. 햇빛은 강한 직사광선을 피해 주고 양지에서 키워주는 게 좋다. 그리고 꽃을 피는 식물이기에 물을 충분히 줘야 한다. 온도는 20도까지에서 잘 자라며 물을 좋아하는 식물 중에 하나가 국화이다. 국화의 꽃말은 고귀함 진실 감사인데 보고 있으면 겹꽃의 꽃이 여러 개 펴서 볼수록 매력을 느낄 수 있다. 하나를 심어두면 다양한 게 포기를 나눠서 번지면서 계속해서 번식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꽃이 예뻐서 절화로 물 꼬지 해서 보는 경우도 있다. 국화는 모양과 색상이 ..